공장과 물류창고를 넘어 도심 순찰과 재난 현장 투입까지, 'AI 로봇캅'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국내 기업들이 속속 자율주행 순찰 로봇을 선보이며 미래 치안 및 안전 시장 선점에 나섰지만, 글로벌 시장을 제패하기 위해서는 완제품 경쟁력뿐만 아니라 이를 구성하는 핵심 부품들의 안정적인 수출입 생태계 조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AI 로봇캅 한 대는 수많은 첨단 부품의 집약체다. 인공지능(AI) 두뇌부터 고성능 카메라, 자율주행을 위한 모터와 센서, 통신 모듈에 이르기까지, 이들 부품의 원활한 수급과 국산화가 곧 산업 경쟁력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들 부품에 대한 통일된 인식이 부족해 기업들이 수출입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이다. 복잡한 부품 분류 체계로 인해 통관이 지연되거나 예상치 못한 관세가 부과되는 등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AI 로봇 산업의 체계적인 성장을 위해 국제 표준인 "HS Code(수출입상품분류코드)"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활용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 '로봇캅', 부품별 HS Code 명확히 알아야
현재 관세법규상 '로봇캅' 완제품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으로 간주되어 "HS Code 제8479.50호(그 밖의 산업용 로봇)"로 분류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그 내부를 구성하는 부품들은 각각의 고유한 기능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 AI 두뇌 (중앙처리장치): 제8471.50호 (자동자료처리기계의 처리장치)
▷ 시각 센서 (고해상도 카메라): 제8525.89호 (디지털 카메라 등)
▷ 이동 플랫폼 (구동 모터): 제8501.31호 (750W 이하 직류전동기)
▷ 통신 모듈 (5G/LTE): 제8517.62호 (데이터 송수신용 기기)
▷ 전원 (배터리): 제8507.60호 (리튬이온 축전지)
▷ 외장 프레임: 제73류(철강), 제76류(알루미늄) 등 재질에 따라 분류
로봇 업계의 한 관계자는 "AI 로봇의 '두뇌'인 반도체 칩을 수입할 때와 '다리'가 되는 구동 모터를 들여올 때의 HS Code가 전혀 다르다"며 "정확한 코드 분류는 예측 가능한 비용 산정과 안정적인 공급망 관리의 첫 단추"라고 강조했다.
◆ '부품이 곧 경쟁력'…수출입 생태계 조성 시급
결국 AI 로봇캅 산업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서는 완제품 조립 능력을 넘어, 핵심 부품의 기술 자립과 글로벌 공급망 확보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정부와 산업계가 머리를 맞대고 부품별 HS Code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R&D 지원 및 관세 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명확한 분류 체계는 국내 부품 기업에게는 수출의 길을 열어주고, 완제품 기업에게는 안정적인 부품 조달을 가능하게 하는 선순환 구조의 기반이 된다.
'AI 로봇캅'이라는 거대한 미래 산업의 성패가 그 안을 채우는 작지만 강한 '부품'들에 대한 인식 제고와 전략적인 수출입 생태계 조성에 달려있다.